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전라남도 고흥군 소록도등대 등 5개를 등대문화유산으로 추가 지정하였다.
해양수산부는 지어진 지 50년이 넘어 역사·문화·예술·사회적 가치가 있는 등대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보존‧관리하기 위해 2006년부터 팔미도등대, 가덕도등대, 호미곶등대, 어청도등대 등 24개를 등대문화유산으로 지정해오고 있다.
올해는 건축‧역사‧해양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등대문화유산위원회의 현장 조사와 관련 자료 연구 등을 바탕으로 전라남도 고흥군 소록도등대,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항등표,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도등대, 전라남도 완도군 어룡도등대, 전라남도 진도군 하조도등대 등 5개를 추가 지정하기로 최종 결정하였다.
[등대문화유산 신규 지정 등대(5개)]
■ 등대명 (건립연월) : 소록도등대 (1937.10.)
▶지정 의의 : 소록도 한센병 환자들의 강제 노역으로 지어진 등대(벽돌조)로, 건립 당시 시대(일제시대) 상을 반영
▶소재지 : 전남 고흥군 도양읍 소록리 산180번지
■ 등대명 (건립연월) : 한산항등표 (1963.12.)
▶지정 의의 : 우리나라 최초 조형 등대이며, 등탑 하부는 거북선 형태로 이 지역에서 일어난 한산대첩 기념
▶소재지 : 경남 통영시 한산면 두억리 산 42-33
■ 등대명 (건립연월) : 암태도등대 (1913.11.)
▶지정 의의 : 원형(벽돌조)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건립 당시의 기술을 이해하는데 도움
▶소재지 : 전남 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산 39
■ 등대명 (건립연월) : 어룡도등대 (1910.10.)
▶지정 의의 : 우리나라 초기 콘크리트 타설 기법이 적용되어 당시 항로표지 건축 발전 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
▶소재지 : 전남 완도군 노화읍 내리 산 375
■ 등대명 (건립연월) : 하조도등대 (1909.02.)
▶지정 의의 : 등탑 입구의 바로크식 아치는 건립 당시 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단초 제공
▶소재지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창유리 1-2
이번에 추가 지정된 등대들은 건립 당시 시대상과 우리나라 건축 기술의 발전을 보여주는 소중한 유산으로, 특히 지금까지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더욱 인정받았다. 이에 따라 등대문화유산은 총 29개로 늘어나게 되었다.
"본 저작물은 해양수산부에서 '2023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8월 이달의 임산물 ‘산양삼’ (0) | 2023.08.11 |
---|---|
산림청, 2023 걷기 좋은 명품숲길 20선 추가 선정 (0) | 2023.08.02 |
2023 여름섬 : 대·소이작도, 삽시도, 말도·명도·방축도, 도초도, 울릉도 (0) | 2023.06.06 |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 2022년 신규 장학생 2,500명 선발 (0) | 2022.07.11 |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신용·체크카드 사용자까지 확대 (0) | 2022.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