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치단체 공고

경기도, ‘2019년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계획’ 확정

728x90
반응형

○ 예산 30억원 : 전기충전기161기, 이동형충전기용콘센트 300개 설치 … ‘지속 추진 예정’ 

 - 공용충전기 설치운영사업 … 관공서, 다중이용시설에 111기 공용충전기 설치

 - 한국에너지공단협업사업 (민간급속충전기 설치운영사업)… 보조금지원 통해 민간참여 확대 

 - 이동형충전기용 콘센트 설치지원… 공동주택단지 등에 공동사용 가능한 콘센트 마련


오는 2022년까지 6,643억 원을 투입해 ‘친환경차 타기 좋은 경기도 조성’을 추진하고 있는 경기도가 ‘2019년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계획’을 확정했다.


공용 설치 및 민간참여 확대 등을 통해 전기차 충전기 161기를 확충하는 기존의 ‘기본계획’에 이동형 충전기용 콘센트 지원사업을 추가한 것이 핵심이다.


경기도는 올해 30억 원의 예산을 투입, 전기차충전기 161기(급속 136기, 완속 25기)와 이동형충전기용 콘센트 300개를 설치하는 등 ‘전기차 충전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2019년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계획’은 크게 ▲공용충전기 설치운영 사업 ▲한국에너지 공단 협업사업(민간 급속충전기‧설치 운영사업) ▲이동형 충전기용 콘센트 설치지원 등 3개 사업으로 나뉜다.


먼저, 도는 관공서나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총 111기(급속 86대, 완속 25대)의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기로 했다.


접근이 용이하고 충전 중 주차요금 감면 혜택이 있는 공영주차장에 충전기가 집중 설치될 수 있도록 추진하는 한편 연천, 여주, 과천 등 충전인프라가 부족한 시군에 충전기를 우선 설치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이와 함께 도는 한국에너지공단과의 협업을 통해 편의점, 식당, 주유소 등 도민이 손쉽게 접할 수 있는 편의시설 주변에 전기차 급속충전기를 설치할방침이다.


󰊱 전기자동차 공용충전기 설치·운영 사업자 지원 사업


 ○ 지원내용 : 관공서, 다중이용시설 등에 공용충전기 및 부대시설(캐노피, 볼라드 등) 설치 완료에 따른 보조금 지원

  - 급속충전기 : 최대 25,000천원/기(동일 장소 2기 부터는 최대 20,000천원/기)

  - 완속충전기 : 최대  3,000천원/기(동일 장소 2기 부터는 최대  2,500천원/기)


 ○ 추진방안

  - 접근이 용이하고 충전 중 주차요금 감면 혜택이 있는 공영주차장에 집중      설치하여 편리성 제고 

  - 충전인프라 부족한 시군에 우선 설치 추진으로 불균형 해소(연천, 여주, 과천 등)


 ○ 사업량 : 111기(급속 86, 완속 25)


한국에너지공단 보조금을 지원받는 민간사업자에게 1기당 500만 원씩 총 50기분의 도 보조금을 추가로 지원, 민간 참여율을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 한국에너지공단 협업 사업(민간 급속충전기 설치운영 지원사업)


 ○ 지원내용 : 한국에너지공단 민간 급속충전기 설치 지원사업에 경기도 내 설치분에 한해 추가 지원

  - 급속충전기 1기 당 최대 5,000천원 이내 지원

  - 사업자당 최대 30기까지 지원

  - 한국에너지공단 설치확인서 발급순서에 의한 수시선정


 ○ 추진방안

  - 일상생활에서 쉽게 충전기를 찾고 이용할 수 있도록 편의점, 주유소 등 생활밀접 지점에 충전시설 설치로 편리성 제고

  - 타기관과의 협업으로 공단은 참여율을 높이고 도는 예산절감으로 효율성 도모


 ○ 사업량 : 급속충전기 50기


끝으로, 주차공간부족 및 입주민 반대 등으로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지 못하고 있는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총 300개의 ‘이동형 충전기용 콘센트’를 설치하는 계획도 새롭게 추가됐다.


공동주택단지 옥외주차장 등에 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가 마련될 수 있도록 개당 최대 100만 원, 주택단지 1개소 당 최대 300만원의 공사비를 지원, ‘충전 사각지대’를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 이동형충전기용 콘센트 설치 지원 사업


 ○ 지원내용 : 공동주택단지 옥외 주차장에 공용으로 이동형 충전기 사용을 위한 콘센트 설치 공사비용 지원

   - 공사비용 1개당 최대 1,000천원 지원

   - 공동주택단지 1개소 당 최대 3,000천원 이내


 ○ 추진방안

   - 주차공간부족 및 입주민 반대 등의 이유로 고정식 충전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공동주택에서 기존 콘센트를 사용하여 전기차 충전

   - 지하주차장이 없어 콘센트 설치가 어려운 공동주택에 옥외 설치 비용지원으로 충전사각지대 해소 


 ○ 사업량 : 콘센트 300개


도는 올해부터 추진되는 3개 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을 통해 도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오는 2022년까지 추진되는 장기 프로젝트가 시작되는 해인 만큼 사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며 “미세먼지 걱정 없는 경기도 조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전기차충전소 위치는 환경부의 전기차 충전소 홈페이지 (www.ev.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전기차 충전소 모바일 조회서비스’를 이용하면 이동중 스마트폰으로도 전기차 충전소 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저작물은 '경기도'에서 '2019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기도청 홈페이지 www.gg.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