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초 전투함 해외파병, 2009년 3월 13일 출항 후 10년 맞아
-선박호송 및 안전항해지원 약 21,900척, 항해거리는 지구 약 49바퀴에 육박
-아덴만 여명작전, 한진텐진호 선원 구출 등 우리국민 보호와 아덴만 평화에 기여
-4,400톤급 구축함 주축으로 3회 이상 파병장병 189명 등 원해작전 경험 축적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전투함으로 구성된 해외파병부대인 청해부대가 지난 2009년 3월 13일 출항한 후 파병 10주년을 맞는다. 청해부대는 지난 10년 간 아덴만 해역을 중심으로 해적퇴치, 선박호송, 안전항해 지원 등의 임무를 완수했으며, 연합해군사 및 EU와의 대해적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여왔다.
* 부대창설 : ′09. 3. 3.(화) / 1진(문무대왕함) 출항 : ′09. 3.13.(금)
[사진제공 : 대한민국 해군]
청해부대는 지난 2009년 3월 13일 1진 문무대왕함 파병 출항을 시작으로 지금은 28진 최영함이 소말리아 해역에서 임무를 수행중이다. 청해부대 6진(최영함)은 아덴만 여명작전을 성공시켰고, 한진텐진호 선원 구출작전을 완수했다. 11진(강감찬함)은 제미니호 피랍선원 구출작전을 완수했다. 16진(문무대왕함)은 리비아에서 우리교민과 외국인 철수를 지원했고, 26진(문무대왕함)은 가나 해상에서 피랍되었다 구출된 우리 국민을 호송하는 등 우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해 왔다.
[사진제공 : 대한민국 해군]
[청해부대의 해적퇴치 실적]
구 분 | 일 자 | 선 박 | ||
국 적 | 선 명 | 선 종 | ||
1진 | ’09. 4.17. | 덴마크 | PUMA | 상 선 |
5. 4. | 북한 | 다박솔 | 상 선 | |
5. 6. | 파나마 | 네펠리 | 상 선 | |
5.13. | 쿠웨이트 | AL MIRQAB | 상 선 | |
5.13. | 이집트 | AMIRA | 상 선 | |
5.31 | 한 국 | 오로라 7호 | 어 선 | |
8. 4. | 바하마 | NOTOS SCAN | 상 선 | |
2진 | ’09. 8.26. | 이탈리아 | Southern Cross | 상 선 |
9.19. | 바하마 등 4개국 | 대니보이 등 4척 | 상선 3척 어선 1척 | |
3진 | ’10. 2. 6. | 파나마 등 4개국 | Oriental Wisteria 등 6척 | 상 선 |
3.15 | 파나마 | 2만톤급 | 상 선 | |
4진 | ’10. 6. 3. | 몰타 | HYUNDAI 203 | 상 선 |
9. 6. | 홍콩 | ATLANTIC GRACE | 상 선 | |
5진 | ’10. 9.15. | 인도 | Prerana | 상 선 |
6진 | ’11. 1.21. | 파나마 | 삼호 쥬얼리 | 상 선 |
4.21. | 파나마 | 한진 텐진 | 상 선 | |
7진 | 7. 3. | 파나마 | 아젤리아 | 상 선 |
11진 | ’12.12. 1. | 싱가포르 | 제미니호 | 상 선 |
12진 | ’13. 3.17 | 파나마 등 3개국 | THORCO SUNRISE SW 등 3척 | 상 선 |
’13. 4.25 | 파나마, 영국 | Argent Cosmos, Hamburg Max | 상 선 | |
13진 | ’13. 8. 4. | 예멘 | AL SAEED2 | 가축운반선 |
2019년 2월 20일 기준, 청해부대가 호송 및 안전항해를 지원한 선박은 21,895척, 해적퇴치는 21회, 총 항해거리는 1,053,600NM(1,951,267km)로 지구를 약 49바퀴 돈 거리이며, 28진까지 파병 참가 인원은 8,478명이다.
청해부대 검문검색대로 파병에 참가했던 최창민 원사, 박세환·이근행 상사는 5회에 달하는 파병 경험을 가지고 있다. 3회 이상 파병 경험을 가진 장병은 189명에 달하며, 청해부대 참모에서 지휘관까지 임무를 수행한 장교도 다수다. 이제 대한민국 청해부대는 세계 어느 파병부대보다 아덴만에서의 작전 경험을 많이 가진 부대라고 할 수 있다.
청해부대는 파병시부터 많은 어려움을 극복해 왔다. 국내에서는 수행하지 않았던 대해적작전을 준비, 숙달하여 완전작전을 수행했고, 인도양이라는 낯선 작전환경 속에서 구축함 1척만 파병해 단독으로 6개월간 임무를 수행한다는 점, 국내에 6척 뿐인 DDH-Ⅱ급 구축함을 1척씩 선정하여 파병한다는 점 등이다. 지금까지 문무대왕함과 왕건함이 각각 여섯 번씩 파병임무를 수행했다.
[사진제공 : 대한민국 해군]
이 외에도 청해부대는 국제해상안전과 테러 대응을 위해 연합해군사 및 EU의 해양안보작전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CTF-151 지휘관 임무 수행 등의 활동을 통해 우리 선박이 연합해군전력의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해수부와 협조, 인도양에서 조업중인 우리 어선의 보호활동과, 해적피해 예방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 CTF-151(Combined Task Force-151) : 아덴만과 소말리아 해역에서 대해적작전을 수행하는 연합해군사 예하부대
해군은 3월 19일 청해부대 파병 10주년 기념행사를 해군 작전사령부에서 개최한다. 기념식은 심승섭 해군참모총장이 주관하며, 역대 청해부대 지휘관 및 파병장병, 유관기관 단체장 등이 참가한다. 기념행사와 함께 국군방송 위문열차 공연(18일), 파병 10주년을 회고하는 사진전 등을 개최한다.
[청해부대 파병 10주년 기념행사 계획]
□ 기념식
◦ 일시/장소 : 3.19.(화) 11:00~11:50 / 부산작전기지
◦ 주관 : 해군참모총장
◦ 초청대상 : 청해부대 각 진별 대표장병, CTF-151 지휘부, 유관기관 관계자 등
◦ 주요내용 : 파병 10주년 경과보고, 축전낭독, 부대표창 수여, 해군참모총장 기념사, 한국 선주협회장(정태순) 축사, 특별강연(前 주 예멘대사 이영호)
청해부대 파병 지원 주무 부서장인 해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이종호 소장은 “우리 해군은 청해부대 파병을 통해 원해에서의 작전 수행능력을 배양해 왔다.”라며, “앞으로는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 국민이 필요로 하는 곳이라면 언제, 어디에서라도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해군으로 발전해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다.”라고 파병 10주년을 맞는 소감을 밝혔다.
한편, 해군은 “해양강국, 대양해군”을 해군 비전으로 설정하고, 앞으로 다양한 해양안보 위협에 대응함은 물론 국제평화에 기여하기 위한 해군의 능력을 갖추기 위해 『해군비전 2045』를 수립, 추진하고 있다.
[대한민국 해군 청해부대 소개]
청해부대는 소말리아 내전 등으로 인해 아덴만 인근 해역에서의 해적행위가 급증하자 UN 안보리 결의(1838호)를 근거로 파병하게 되었다. 2009년 3월 국회의 파병동의안이 의결되었으며, 우리 선박의 안전활동 지원, 연합해군사 및 EU 해양안보작전 참여, 유사시 우리국민 보호작전 및 원양어선 보호활동을 수행한다.
[사진제공 : 대한민국 해군]
작전 수행은 합동참모본부의 직접 통제를 받으며, 구축함과 검문검색대, 항공파견대 등 300여 명으로 구성된다. 아덴만 해역은 원유, LNG 등 우리나라 전략물자의 주요 해상수송로이며 우리 국적 선박이 연간 400여 척 통항하고 있다. 아덴만 해역을 통과하지 않고 희망봉으로 우회할 경우 1만톤급 컨테이너선 기준 70억원 정도의 비용이 추가로 든다.
현재 美 태평양함대사령관으로 재직중인 J.C. Aquilino 대장은 미 해군 5함대/ 연합해군사/ 미해군 중부사령관으로 재직하던 2018년 4월 송영무 前 국방부 장관에게 보낸 편지에서 “청해부대는 CTF-151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고 EUNAVFOR(유럽해군사령부)의 CTF-465와 긴밀히 협력함으로써 소말리아 해역의 해적활동을 억제하고 와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귀중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라며, 청해부대 파병을 지속해 주기를 요청한 바 있다.
* 출처 : 『대한민국 해외파병 이야기』, 국방부, 2018
* EUNAVFOR : EU 해군사령부 / CTF-465 : EU 해군사 예하 대해적작전부대
[청해부대 파병함 현황]
구분 | 함정 | 구분 | 함정 |
1 진 | 문무대왕 | 16 진 | 문무대왕 |
2 진 | 대조영 | 17 진 | 대조영 |
3 진 | 충무공이순신 | 18 진 | 왕건 |
4 진 | 강감찬 | 19 진 | 충무공이순신 |
5 진 | 왕건 | 20 진 | 최영 |
6 진 | 최영 | 21 진 | 왕건 |
7 진 | 충무공이순신 | 22 진 | 문무대왕 |
8 진 | 문무대왕 | 23 진 | 최영 |
9 진 | 대조영 | 24 진 | 대조영 |
10 진 | 왕건 | 25 진 | 충무공이순신 |
11 진 | 강감찬 | 26 진 | 문무대왕 |
12 진 | 문무대왕 | 27 진 | 왕건 |
13 진 | 왕건 | 28 진 | 최영 |
14 진 | 최영 | 29 진 | 대조영함 (3.29 출항 예정) |
15 진 | 강감찬 |
※ 파병 최다(6회) : 문무대왕함, 왕건함 / 5회 : 대조영함, 최영함 / 4회 : 충무공이순신함 / 3회 : 강감찬함
"본 저작물은 대한민국 해군에서 '2019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방부 사이트 http://www.navy.mil.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정부발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철, 실내 공기정화에 효과가 좋은 식물을 소개합니다. (0) | 2019.03.24 |
---|---|
중국 여행객 휴대 축산물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의 유전자(4건) 추가 확인 (0) | 2019.03.22 |
민방위경보(사이렌‧방송)에 전광판도 활용 (0) | 2019.03.15 |
만성콩팥병, 진행될수록 합병증과 사망 위험성 커져 (0) | 2019.03.14 |
‘무허가 축사 적법화 자금’ 적극 지원 나선다 (0) | 2019.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