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독립운동가의 이름, 사진, 활동내역은 화성시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제공한 보도자료를 이용했습니다.
이 포스트에 게시를 위해 다시한번 정리를 하면서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특히 여기에 올려진 사진을 찬찬히 한번 보시면... 어디선가 본듯한, 너무나 평범한 우리 이웃의 모습이 보입니다.
목숨을 걸고 일제에 항거했다고 보기엔 너무나 순수한 모습들... 그래서 더욱 감사한 마음이 들게 됩니다.
나라면 어땠을까... 그저 부끄럽기만 합니다.
소중한 독립운동가의 희생으로 우리는 이렇게 편안한 삶을 살고 있다는 사실... 꼭 기억하며 살겠습니다.
번호 | 이름 | 활 동 내 역 | 훈 격 |
1 | ○1881~1919 ○우정면 화산리 출생 ○시종원 시정분시경 임명, 광무황제 보좌, 1905년 ‘을사늑약’으로 낙향 ○장안·우정면 3·1만세운동의 배후자로 보복학살로 순국 | 2015년 건국훈장 애국장 | |
김연방(金然昉) | |||
우정면 화산리 | |||
2 | 송성호(宋聲浩) | ○1856~1919 ○우정면 화수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일경의 보복학살로 순국 | 2015년 건국훈장 애국장 |
우정읍 화수리 | |||
3 | 송종혁,송노인 (宋鍾赫·老人) | ○1868~1919 ○우정면 화수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중 일경의 발포로 현장에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우정면 화수리 | |||
4 | ○1882~1937 ○우정면 주곡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2년형 선고 | 2011년 건국훈장 애국장 | |
장제덕,장순명 (張濟德·順明) | |||
우정면 주곡리 | |||
5 | 장희순(張喜順) | ○1921~미상 ○우정면 조암리 출생 ○일제 말기에 학생운동에 참여, 징병 반대, 창씨개명 반대 운동 전개 ○1944년 1월에 체포되어 4개월의 옥고를 치름 | 2005년 대통령 표창 |
우정면 조암리 | |||
6 | ○1892~1970 ○우정면 화수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년 9개월의 옥고를 치름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최장섭,최장관 (崔長燮·長官) | |||
우정면 화수리 | |||
7 | 강태성(姜太成) | ○미상~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8 | 강태성(姜太成) 부인 김씨 | ○1899~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 당시 교회로 달려가다 일본군에게 살해, 현장에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족장 |
향남면 제암리 | |||
9 | 김덕용(金德用) | ○1900~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10 | ○1926~1945 ○향남읍 상두리 출생 ○서울 상경 후 민족의식 고취, 1944년 5월 낙서사건으로 일경에 체포 ○1944년 12월 14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월을 선고 받고 1945년 4월 3일 옥중에서 순국 |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 | |
김용창(金容昶) | |||
향남읍 상두리 |
번호 | 이름 | 활 동 내 역 | 훈 격 |
11 | 김정헌(金正憲) | ○1876~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12 | 안경순(安慶淳) | ○1876~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13 | 안관순(安官淳) | ○1903~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14 | 안명순(安命淳) | ○1900~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15 | 안무순(安武淳) | ○1894~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16 | 안봉순(安鳳淳) | ○1894~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17 | 안상용(安相鎔) | ○1900~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18 | 안유순(安有淳) | ○1899~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19 | 안정옥(安政玉) | ○1862~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20 | ○1871~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
안종락(安鍾樂) | |||
향남면 제암리 |
번호 | 이름 | 활 동 내 역 | 훈 격 |
21 | 안종린(安鍾麟) | ○1863~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15일 천도교 수원교구에 만세시위 계획을 논의 후 3월 16일 일본수비대의 피습으로 부상을 입음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22 | 안종엽(安鍾燁) | ○1860~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23 | 안종환(安鍾煥) | ○1899~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15일 천도교 수원교구에 만세시위 계획을 논의 후 3월 16일 일본수비대의 피습으로 부상을 입음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24 | 안종후(安鍾厚) | ○1889~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25 | 안진순(安珍淳) | ○1896~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26 | 안필순 (安弼淳) | ○1898~1919 ○이명 안태순(安太淳)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27 | 오병훈(吳炳訓) | ○1884~1910 ○향남면 행정리 출생 ○1908년 6월 의병 군자금 모집 활동전개 ○경기재판소에서 3년을 선고 받고 복역 중 옥중에서 순국 | 2005년 건국훈장 애족장 |
향남면 행정리 | |||
28 | 유현서(柳鉉西) | ○1882~1909 ○향남면 온석동 출생 ○1907년 8월에 가담하여 10월까지 의병활동 ○1908년 4월 의병장이 되어 7월까지 군자금을 모집하다가 체포 ○1908년 9월 공주지방재판소에서 교수형 판결 ○1909년3월 20일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온돌가 | |||
29 | 조경칠(趙敬七) | ○1873~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30 | 진희서(陳希西) | ○1883~미상 ○향남 발안장에서 활동 ○1907년 의병운동에 투신, 총기·화약·탄약 등을 수집 ○총을 장만하기 위한 모금활동으로 체포 ○1908년 3월 20일 경성지방재판소에서 유형 15년의 형 선고 | 2017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읍 발안리 |
번호 | 이름 | 활 동 내 역 | 훈 격 |
31 | 홍순진(洪淳晋) | ○1887~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향남면 제암리 | |||
32 | 홍원식(洪元植) | ○1877~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07년 군대 해산으로 의병에 참여 ○김성열, 안종후 등과 함께 구국동지회 결성하여 활동 ○1919년 3월 31일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 |
향남면 제암리 | |||
33 | 홍원식(洪元植) 부인김씨 | ○1877~1919 ○향남면 제암리 출생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 당시 일본군에게 살해, 현장에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족장 |
향남면 제암리 | |||
34 | 김선여(金先汝) | ○1887~미상 ○남양 출생 ○1907년 의병운동에 투신, 총기·화약·탄약 등을 수집 ○총을 장만하기 위한 모금을 하다가 현장에서 체포 ○1908년 3월 20일 경성지방재판소에서 유형 15년의 형 선고 | 2015 건국훈장 애국장 |
남양 | |||
35 | ○1894~1962 ○음덕면 신남리 출생 ○1919년 4월 1일 부천군 대부면에서 만세시위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5월8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0월형으로 공소 후 경성복심법원,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어 1년여의 옥고를 치름 | 1992년 건국훈장 애족장 | |
김윤규(金允圭) | |||
음덕면 신남리 | |||
36 | 노병상(盧秉相) | ○1891~1982 ○음덕면 신남리 출생 ○1919년 4월 1일에 부천군 대부면에서 만세시위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5월 8일 경성지방법원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0월형 언도받아 공소 후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되어 복역 | 1990 건국훈장 애족장 |
음덕면 신남리 | |||
37 | 우성오(禹性五) | ○1858~1908 ○남양 출생 ○의병활동 중 체포되어 1899년 9월 중에 징역 15년형 선고 받은 후 1901년 2월에 은사의 특전을 받고 석방 ○1907년 11월 의진 감찰관으로 활동 중 체포되어 1908년 3월 경기재판소에서 유형10년을 선고 받음. 그후 남양군내 일본군 수비대에 의해 피살, 순국 | 2002년 건국훈장 애국장 |
남양 | |||
38 | 윤병소(尹秉召) | ○ 1887~미상 ○남양 안석리 출생 ○1919년 3월 30일 경기도 시흥군 수암면 일대의 만세시위 참여 후 체포 ○1920년 5월 2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10월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화성 안석리 | |||
39 | 이창회(李昌會) | ○1872~1960 ○음덕면 남양리 출생 ○1919년 3월 보안법 위반으로 금고 4개월에 처해졌던 것으로 보아 3·1운동에 참가 추정 ○1924년 경성지방법원에서 공산당 선거자금 모집으로 징역 3년 선고 | 2010년 건국훈장 애족장 |
음덕면 남양리 | |||
40 | ○1913~1964 ○음덕면 남양리 출생 ○1934년 4월20일 조선혁명정치군사간부학교 졸업 후 충남 온양에 귀향, 공산당 재건 활동 전개, 독립운동 준비 중에 1934년 11월 11일에 체포 ○2월 15일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을 선고 | 2009년 건국훈장 애족장 | |
홍가륵,원홍무 (洪加勒,元弘武) | |||
음덕면 남양리 |
번호 | 이름 | 활 동 내 역 | 훈 격 |
41 | 홍건(洪楗) | ○1838~미상 ○남양 출생 ○1896년에 의병활동 전개하다 체포, 무죄 석방 ○석방된 다음 날 다시 서울로 압송되어 징역 3년형 선고, 고종의 특지로 석방 | 2009년 건국포장 |
남양 | |||
42 | 홍원표(洪元杓) | ○1875~1962 ○음덕면 신남리 출생 ○1919년 4월 1일 부천군 대부면 만세시위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5월 8일 경성지방법원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0월형 언도받아 공소 후 경성복심법원,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어 복역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음덕면 신남리 | |||
43 | ○1927~2008 ○매송면 출생 ○1943년 5월 일본 가와사끼 일본강관주식회사에 취업 중인 한국근로자 차별 반대시위 주도, 참여 ○1945년 5월 대한애국청년당을 결성, 7월 서울 부민관에 폭탄 투척 ○매송면에서 야학당 활동 전개 후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으로 친일파 척결과 민족정기 선양을 위해 활동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
조문기(趙文紀) | |||
매송면 | |||
44 | ○1867~1923 ○비봉면 청요리 출생 ○1918년 11월 대한독립선언서 작성 ○북로군정서 조직, 총재에 서일(徐一)을 임명 후 청산리독립전쟁에서 대승 ○1921년 11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회의에 임시정부의 영국 외교대표로 외교활동 전개 |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 | |
김교헌(金敎獻) | |||
비봉면 | |||
45 | ○1869~1931 ○마도면 해문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형 선고 | 2007년 대통령 표창 | |
김성실(金成實) | |||
마도면 해문리 | |||
46 | ○1895~1974 ○음덕면 출생 ○1919년 4월 1일 원곡면·양성면 만세시위 참여 중 체포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최창용(崔昌鎔) | |||
마도면 | |||
47 | ○1889~1959 ○1919년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7월 5일 고등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7년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
김교창(金敎昌) | |||
송산면 사강리 | |||
48 | ○ 1889~1971 ○음덕면 온고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형 선고, 출옥 후에는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독립운동 자금을 전달하려다가 체포 | 1992년 대통령 표창 | |
김도정(金度貞) | |||
송산면 사강리 | |||
49 | ○1863~1926 ○마도면 해문리 출생 ○1919년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7월 5일 고등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0년형을 선고받고 옥중에서 순국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
김명제(金命濟) | |||
송산면 사강리 | |||
50 | ○1881~1936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7월 5일 고등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7년형을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
김용준(金容俊) | |||
송산면 사강리 |
번호 | 이름 | 활 동 내 역 | 훈 격 |
51 | ○1893~1960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7월 5일 고등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2년형 선고 |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 | |
문상익(文相翊) | |||
송산면 사강리 | |||
52 | ○1876~1925 ○송산면 사강리 거주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5월 31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7년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
민용운(閔用云) | |||
송산면 사강리 | |||
53 | ○1899~1994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7년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
박춘흥,박영호 (朴春興·永鎬) | |||
송산면 사강리 | |||
54 | 안순원(安順元) | ○1886~1950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5월 31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소요·살인 혐의로 징역 6년형 선고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송산면 사강리 | |||
55 | ○1879~1947 ○송산면 사강리 거주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5월 31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소요·살인 혐의로 징역 6년형 선고 | 2004년 건국훈장 애국장 | |
오광득(吳光得) | |||
송산면 사강리 | |||
56 | ○1872~1951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5월 31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12년형 선고 |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 | |
왕광연,왕국신 (王光演·國臣) | |||
송산면 사강리 | |||
57 | 이규선(李奎善) | ○1885~1941 ○송산면 중송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3년부터 1928년까지 임시정부의 밀령으로 군자금 모금 활동 중 1928년 8월 체포되어 10일간 구류처분 받음 ○1931년 1월 군자금 모금 운동 중 체포,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12년형을 선고, 옥중에서 순국 |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 |
송산면 중송리 | |||
58 | ○1879~1955 ○송산면 사강리 거주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살인 등의 혐의로 징역 6년형 선고 |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 | |
이윤식(李潤植) | |||
송산면 사강리 | |||
59 | ○1883~1943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살인 등의 혐의로 징역 6월형 선고 | 2007년 대통령표창 | |
이정집,이경집 (李正執·敬集) | |||
송산면 사강리 | |||
60 | 임팔룡,임용포 (林八龍·龍浦) | ○1888~1921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살인 등의 혐의로 징역 7년형 선고 | 2013년 건국훈장 애국장 |
송산면 사강리 |
번호 | 이름 | 활 동 내 역 | 훈 격 |
61 | ○1883~1973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살인 등의 혐의로 징역 7년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
정군필(鄭君弼) | |||
송산면 사강리 | |||
62 | ○1882~1939 ○송산면 사강리 거주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살인 등의 혐의로 징역 7년형 선고 | 2011년 건국훈장 애국장 | |
차경현,차만택 (車敬炫·萬澤) | |||
송산면 사강리 | |||
63 | ○1867~1936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살인 등의 혐의로 징역 6년형 선고 | 2009년 건국훈장 애국장 | |
최춘보(崔春甫) | |||
송산면 사강리 | |||
64 | ○1890~1971 ○송산면 삼존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살인 등의 혐의로 징역 7년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
홍관후,홍재범 (洪寬厚·在範) | |||
송산면 삼존리 | |||
65 | 홍남후(洪南厚) | ○1871~1924 ○송산면 삼존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살인 등의 혐의로 징역 7년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송산면 삼존리 | |||
66 | ○1900~1974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살인 등의 혐의로 징역 7년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
홍명선(洪明善·先) | |||
송산면 사강리 | |||
67 | 홍문선(洪文善) | ○1889~1959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살인 등의 혐의로 징역 7년형 선고 | 2016년 건국훈장 애국장 |
송산면 사강리 | |||
68 | ○1903~1965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살인 등의 혐의로 징역 6월형 선고 | 2015년 대통령 표창 | |
홍복용 (洪福·金奉龍) | |||
송산면 사강리 | |||
69 | ○1894~1928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살인 등의 혐의로 징역 6월형 선고 | 2006년 건국포장 | |
홍승한,홍성택 (洪承漢) | |||
송산면 사강리 | |||
70 | 홍우선 (洪宇善) | ○1866~1919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수원 경찰서에서 고문을 받고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송산면 사강리 |
번호 | 이름 | 활 동 내 역 | 훈 격 |
71 | ○1888~1945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2년형 선고 |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 | |
홍준옥(洪㻐玉) | |||
송산면 사강리 | |||
72 | ○1861~1935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체포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살인 등의 혐의로 징역 6월형 선고 | 2002년 대통령표창 | |
홍태근(洪泰根) | |||
송산면 사강리 | |||
73 | 홍효선(洪孝善) | ○1879~1919 ○송산면 사강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3월 28일 송산면 사강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체포되어 예심진행 중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송산면 사강리 | |||
74 | 홍대우(洪大宇) | ○1847~1919 ○서신면 전곡리 출생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 송산면 사강리 일대 만세시위 참여 ○4월 16일 일본헌병과 경찰의 진압작전 때 총에 맞아 순국 | 2005년 건국훈장 애국장 |
서신면 전곡리 | |||
75 | 홍현주(洪顯周) | ○1883~1945 ○서신면 송교리 출생 ○1916년 대한광복회에 가입하여 군자금 모집에 활동하고 북간도에서 대성학교을 운영하면서 독립사상을 고취 ○ 1924년 6월 경남 합천(陜川)에서 군자금 수합 활동을 펴던 중 일경에 피체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서신면 송교리 | |||
76 | 김성열(金聖烈) | ○1871~1919 ○팔탄면 고주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향남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고주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팔탄면 고주리 | |||
77 | 김흥복(金興福) | ○미상~1919 ○팔탄면 고주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향남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고주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팔탄면 고주리 | |||
78 | 김세열(金世烈) | ○1875~1919 ○팔탄면 고주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향남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고주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팔탄면 고주리 | |||
79 | 김주남(金周男) | ○1895~1919 ○팔탄면 고주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향남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고주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팔탄면 고주리 | |||
80 | 김주업(金周業) | ○미상~1919 ○팔탄면 고주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향남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고주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팔탄면 고주리 |
번호 | 이름 | 활 동 내 역 | 훈 격 |
81 | 김흥렬(金興烈) | ○미상~1919 ○팔탄면 고주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향남 발안장 만세시위 참여 ○1919년 4월 15일 고주리 학살사건으로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팔탄면 고주리 | |||
82 | ○1856~1919 ○팔탄면 가재리 출생 ○1919년 3월 31일 향남 발안장 만세시위에 참여 중 일경에 의해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
이정근(李正根) | |||
팔탄면 가재리 | |||
83 | 이철림(李喆林) | ○1901~1959 ○팔탄면 덕우리 출생 ○1919년 4월 7~8일 충남 홍성군 장곡면 화계리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 참여 중 체포 ○1920년 5월 30일 공주지방법원에서 보안법 위반과 소요죄로 징역 6월형 선고 | 2004년 대통령 표창 |
팔탄면 덕우리 | |||
84 | 홍사묵(洪思默) | ○1924~1953 ○팔탄면 하저리 출생 ○1943년 3월부터 7월까지 서울에서 일제식민정책비판, 조선어 교육 폐지반대, 일본 패전 예견 등 조선의 독립가능성 등을 이야기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형으로 투옥 | 2006년 건국훈장 애족장 |
팔탄면 하저리 | |||
85 | ○1880~1954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김교철(金敎哲) | |||
장안면 수촌리 | |||
86 | ○1891~1961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 6월형을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김규완,김황운 (金奎完·黃雲) | |||
장안면 수촌리 | |||
87 | ○1889~1958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김덕근(金德根) | |||
장안면 수촌리 | |||
88 | ○1876~1962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김덕삼(金德三) | |||
장안면 수촌리 | |||
89 | ○1887~1951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김명우(金明友) | |||
장안면 수촌리 | |||
90 | 김명호,김여근 (金明鎬·汝根) | ○1887~1951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장안면 수촌리 |
번호 | 이름 | 활 동 내 역 | 훈 격 |
91 | ○1879~1944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김응식(金應植) | |||
장안면 수촌리 | |||
92 | ○1885~1949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 6월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김응오(金應五) | |||
장안면 수촌리 | |||
93 | ○1885~1925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 6월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김종학(金鍾學) | |||
장안면 수촌리 | |||
94 | 김흥삼,김정규 (金興三·正奎) | ○1882~1938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장안면 수촌리 | |||
95 | ○1865~1937 ○장안면 수촌리 출생 ○백낙열은 1919년 4월 3일 면사무소와 주재소를 파괴하는 등 격렬한 시위 전개 ○시위 이후 일경의 체포를 피하며 은신생활하다 1937년 사망 | 2002년 건국포장 | |
백낙열(白樂烈) | |||
장안면 수촌리 | |||
96 | ○1882~1963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백순익(白順益) | |||
장안면 수촌리 | |||
97 | 양순서,양주봉 (梁順西·柱鳳) | ○1869~1919 ○장안면 장안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체포되어 경찰관주재소에서 심한 고문을 받고 순국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장안면 장안리 | |||
98 | 여대현(呂大鉉) | ○1918~1991 ○장안면 석포리 출생 ○항일조직체 효민회를 조직한 최홍준을 만나 일제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기로 하고 조선어연구를 통한 민중계몽활동 전개 ○1934년 2월 독립운동 활동이 일본경찰에 발각되어 체포 ○1944년 1월 대구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징역 1년 6월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장안면 석포리 | |||
99 | 유수산,류수산 (柳秀山) | ○1891~1951 ○장안면 사곡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6개월간의 옥고 치름 | 2016년 건국훈장 애족장 |
장안면 사곡리 | |||
100 | ○1895~1967 ○장안면 석포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 6월형 선고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윤영선(尹永善) | |||
장안면 석포리 |
번호 | 이름 | 활 동 내 역 | 훈 격 |
101 | 이경백(李敬伯) | ○미상~1919 ○장안면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중 일경이 쏜 총에 맞아 순국 | 2002년 건국훈장 애국장 |
장안면 | |||
102 | ○1893~1975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0년형 선고 |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 |
이순모(李順模) | |||
장안면 수촌리 | |||
103 | 인세봉(印世鳳) | ○1892~1965 ○장안면 금의리 출생 ○1919년 3월 29일 천안군 천안읍의 만세시위 주도 ○1919년 6월 12일 고등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월형 선고 | 2003년 건국훈장 애족장 |
장안면 금의리 | |||
104 | ○1895~1945 ○장안면 석포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 선고 | 1997년 애국훈장 애족장 | |
인수만(印壽萬) | |||
장안면 석포리 | |||
105 | 장소진,장봉래 (張韶鎭·鳳來) | ○1886~1920 ○장안면 석포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2년형 선고, 복역 중 병보석으로 풀려났으나 고문의 여독으로 순국 |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 |
장안면 석포리 | |||
106 | ○1897~1966 ○장안면 사랑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2년형 선고 |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 | |
정서송(鄭庶松) | |||
장안면 사랑리 | |||
107 | ○1868~1944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5년형 선고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
정순영(鄭淳榮) | |||
장안면 수촌리 | |||
108 | ○1855~1933 ○장안면 석포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5년형 선고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
차병한(車炳漢) | |||
장안면 석포리 | |||
109 | ○1889~1967 ○장안면 석포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 선고 |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 |
차병혁(車炳赫) | |||
장안면 석포리 | |||
110 | 차인범,차한범 (車仁範·漢範) | ○1901~1922 ○장안면 수촌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0년형 선고, 복역 옥중에서 순국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장안면 수촌리 |
번호 | 이름 | 활 동 내 역 | 훈 격 |
111 | 차희식,차봉습 (車喜植·鳳習) | ○1870~1938 ○장안면 석포리 출생 ○1919년 4월 3일 우정‧장안 만세시위 참여 후 검거 ○1920년 12월 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살인·방화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5년형 선고 후 감형 결정으로 9년 2개월 만에 출옥 |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 |
장안면 석포리 | |||
112 | 박석진(朴錫鎭) | ○1896~1934 ○반월면 출생 ○1919년 3월 31일 반월면 시장에서 전개된 만세시위 참여 ○1919년 6월 14일 경성지방법원에서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5월형 선고 | 2010년 대통령 표창 |
반월면 | |||
113 | ○ 1909~1936 ○태안읍 안녕리 출생 ○1927년 반일단체를 조직, 1935년 노동조합을 결성, 운동자금, 노동조합을 결성하였으나 일경에 체포 ○1936년 7월 6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석방되었으나 그날 오후 순국 | 1996년 건국훈장 애족장 | |
백명흠,김학광 (白明欽,金學光) | |||
태안읍 안녕리 | |||
114 | 신상완(申尙玩) | ○1891~1951 ○안용면 안녕리 출생 ○1919년 독립선언서 배포, 불교계의 만세시위운동 주도 ○일경의 체포를 피해 중국 상해(上海)로 망명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 투신, 군자금 모음 활동 중 소위 철원애국단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 ○12월 23일 경성지방법원에서 보안법 및 정치범죄처벌령 등 위반으로 징역 5년을 받고 공소,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 |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 |
안용면 안녕리 | |||
115 | 유성구(劉成九) | ○1881~미상 ○화성 출생 ○1907년 의병활동, 군자금 활동 중 체포 ○1908년 3월 20일 경기재판소에서 유형 15년의 형 선고 |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 |
화성 | |||
116 | 조춘성(趙春成) | ○1910~1968 ○안용면 출생 ○1944년, 1945년 강원도 원주군 귀래면 운계리에서 연합군 폭격기의 조선․일본 폭격설을 유포해 일경에 체포 ○1945년 3월 24일 경성지방법원에서 불경죄 및 안녕질서에 대한 죄 위반으로 징역 8월 선고 | 2009년 대통령 표창 |
안용 | |||
117 | 최만성(崔萬成) | ○1877~1930 ○동탄면 영천리 출생 ○1919년 3·1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일본경찰에 체포 ○1919년 4월 6일 용인 헌병분대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태90도 받음 | 2008년 대통령 표창 |
동탄면 원천리 | |||
118 | 홍사철(洪思哲) | ○1880~1941 ○동탄면 중리 출생 ○1919년 3·1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일본경찰에 체포 ○1919년 4월 용인 헌병대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태 90도 받음 | 2008년 대통령 표창 |
동탄면 중리 | |||
119 | 홍애시덕 (洪愛施德) | ○1892~1975 ○홍오순(洪五順) ○음덕면 출생 ○1912년 이화학당 교사로 재직하면서 민족계몽, 문맹퇴치운동을 통해 애국정신 고취 등 활동 ○1920년에 김활란, 윤성덕 등과 7인전도대를 조직, 계몽운동을 펴다가 일경에 피체, 옥고 치름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화성 | |||
120 | 황창오(黃昌五) | ○1896~1983 ○태안면 배양리 출생 ○1919년 황해도 해주군에서 만세시위 주도 후, 1920년 5월 상하이로 망명 ○군자금 모집 목적으로 귀국하여 활동 중 일본경찰에 체포 ○1921년 7월 평양지방법원에서 징역 15년형을 언도받고, 불복·공소하였으나 징역 12년형 선고 |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 |
태안면 배양리 |
"본 저작물은 화성시'에서 '2019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화성시청 홈페이지 www.hscity.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치단체 공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교호수공원 프라이부르크 전망대 및 생태환경체험교육관 개관 / 3월21일 (0) | 2019.02.27 |
---|---|
2019년도 전라북도 수렵면허시험 시행 / 4월13일, 7월13일 (0) | 2019.02.27 |
경기도, 2019 일하는 청년 마이스터통장, 복지포인트 사업 안내 (0) | 2019.02.26 |
경기도, 2019년 신규농업인(귀농귀촌) 교육생 모집 (0) | 2019.02.26 |
‘2019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4.29~30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0) | 2019.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