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공정거래위원회, 취미용 드론 종합 비교 결과 발표

정보광장 2019. 8. 19. 13:39
728x90
반응형


  드론이 4차 산업혁명의 대표 품목으로 주목받고 있고, 특히 취미용 드론*(이하 `드론')은 영상 콘텐츠 제작 열풍, 간편한 조작방법 등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은** 제품이지만 객관적인 품질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 자체 중량 12 kg 이하의 비사업용 무인비행장치로 날리기(레이싱), 촬영(사진·영상) 목적으로 주로 활용

** 키덜트 시장 성장세에 상반기 드론 매출이 전년 대비 58% 증가(한국경제, 2018. 8.18.)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소비자에게 객관적인 상품 품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쿼드콥터* 형태의 드론 10개 브랜드, 13개 제품을 대상으로 정지비행 성능, 배터리 내구성, 영상품질, 최대 비행시간, 충전시간 등을 시험·평가했다.

 * 프로펠러가 4개인 형태의 멀티콥터로서, 비행 안정성이 높음.


[드론(취미용) 시험대상 제품]

주요

비행장소

브랜드1)

모델명

수입(판매)

정격전압

[V]

제조국

구입가격2)

[]

DJI

매빅에어

DJI코리아

11.55

중국

867,240

패럿

아나피

피씨디렉트

7.6

중국

740,060

자이로

엑스플로러V3)

DKSH코리아

11.1

중국

498,000

제로텍

도비

성주컴텍

7.6

중국

190,190

시마

X8PRO

아트론

7.4

중국

167,200

바이로봇

패트론V2

바이로봇

3.7

한국

158,000

패럿

맘보FPV3)

피씨디렉트

3.7

중국

141,510

드로젠

로빗100F

드로젠

3.7

한국

136,720

시마

Z3

아트론

3.7

중국

81,210

바이로봇

XTS-145

바이로봇

7.4

중국

69,900

HK

H7-XN8

HK

3.7

중국

30,000

JJRC

H64

보라매

3.7

중국

19,800

한빛드론

팡팡드론2

한빛드론

3.7

중국

19,800

1) 브랜드 순서는 주요 비행장소별 구입가격이 높은 순서임.

2) 온라인 최저가 기준(2019. 8.)이며, 구입 장소 및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3) 해당제품은 현재 단종 상태임.


  시험 결과 정지비행 성능, 배터리 내구성, 영상품질에서 제품별 차이가 있었으며,  최대 비행시간은 제품별 최대 약 5.2배, 충전시간은 최대 약 10.3배 차이가 있었다. 배터리 안전성은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을 충족했으며, 1개 제품은 표시사항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종합 평가(요약)]


 주요 비행장소와 품질(정지비행 성능, 배터리 내구성, 최대 비행시간 등)을 고려한 제품 선택 필요


ㅇ `DJI(매빅에어)' 제품의 성능은 실외비행*에 적합했고, 정지비행 성능, 배터리 내구성, 영상품질은 상대적으로 `우수'했음. 최대 비행시간(19.2분)은 두 번째로 길었으며, 충전시간(49분)은 평균(78분)보다 빨랐음. 비행 안전기능, 모션인식 기능, 다양한 촬영모드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가격(867,240원)은 모든 제품 중 가장 비쌌음.

* 비행성능 및 보유기능이 GPS연결을 기반으로 하며, 비행고도 제한, 비행위치(또는 거리) 표시, 최초 이륙장소 자동복귀 등의 기능을 보유한 제품으로 주요 비행장소는 실외가 적합함.


ㅇ `제로텍(도비)' 제품의 성능은 실외비행에 적합했고, 정지비행 성능, 배터리 내구성은 상대적으로 `우수'했으며, 영상품질은 `양호'했음. 최대 비행시간(9.6분)은 평균(10.6분)보다 짧았고, 충전시간(43분)은 평균(78분)보다 빨랐음. 가격(190,190원)은 실외용 제품 중 두 번째로 저렴했음.


ㅇ `시마(Z3)' 제품의 성능은 실내비행*에 적합했고, 정지비행 성능, 배터리 내구성은 상대적으로 `우수'했으며, 영상품질은 `보통'이었음. 최대 비행 시간(9.9분)은 평균(10.6분)보다 짧았고, 충전시간(102분)은 평균(78분)보다 느렸음. 가격(81,210원)은 실내용 제품의 평균(82,118원)보다 저렴했음.

* 비행고도 제한, 비행위치(또는 거리) 표시, 최초 이륙장소 자동복귀 기능이 없고, 약한 바람(2 m/s 수준)에도 기체가 밀리는 제품으로 주요 비행장소는 실내가 적합함.


ㅇ `패럿(맘보FPV)' 제품의 성능은 실내비행에 적합했고, 정지비행 성능은 상대적으로 `우수'했으며, 배터리 내구성 및 영상품질은 `양호'했음. 최대 비행시간(7.2분)은 평균(10.6분)보다 짧았고, 충전시간(27분)은 가장 빨랐음. 가격(141,510원)은 실내용 제품 중 두 번째로 비쌌음.


ㅇ `바이로봇(패트론V2)' 제품의 성능은 실내비행에 적합했고, 정지비행 성능은 `양호', 배터리 내구성은 상대적으로 `우수'했음. 최대 비행시간(6.4분)은 평균(10.6분)보다 짧았고, 충전시간(41분)은 평균(78분)보다 빨랐음. 촬영기능은 없었으나, 코딩, 모듈화 기체 등을 보유하고 있었고, 가격(158,000원)은 실내용 제품 중 가장 비쌌음.


□ 정지비행 성능, 5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해


ㅇ 정지비행* 성능이 우수할수록 안전사고(충돌·추락 등) 위험이 감소하고, 사진 및 영상 촬영 편리성이 높아진다. 시험대상 제품 중 5개 제품**이 정지비행 시 고도 및 수평을 잘 유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 비행 중 조종기를 조작하지 않을 때 드론이 스스로 고도 및 수평을 유지하며, 제자리에서 비행하는 기능

** 주요 비행장소가 실외인 DJI(매빅에어), 제로텍(도비), 패럿(아나피) 등 3개 제품 및 주요 비행장소가 실내인 시마(Z3), 패럿(맘보FPV) 등 2개 제품


□ 최대 비행시간, 제품별 최대 5.2배 차이 있어 


ㅇ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시킨 후 최대 비행시간*을 측정한 결과, 패럿(아나피) 제품이 25.8분으로 가장 길었고, JJRC(H64) 제품이 5분으로 가장 짧아 제품별 최대 5.2배 차이가 있었다.

 * 드론 사용 경험이 있는 5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24.4%(122명)가 드론의 가장 중요한 품질성능으로 ‘최대 비행시간’을 응답함.(한국소비자원, 2019. 1.)


[최대 비행시간 시험 결과]

주요 비행장소

브랜드

모델명

최대비행시간1) []

실외

DJI

매빅에어

 

19.4

시마

X8PRO

 

10.0

자이로

엑스플로러V

 

18.7

제로텍

도비

 

9.6

패럿

아나피

 

25.8

실내

HK

H7-XN8

 

7.0

JJRC

H64

 

5.0

드로젠

로빗100F

 

5.8

바이로봇

XTS-145

 

6.3

바이로봇

패트론V2

 

6.4

시마

Z3

 

9.9

패럿

맘보FPV

 

7.2

한빛드론

팡팡드론2

 

6.1

1) 정지비행 상태로 측정(무풍, 20)한 최대 비행시간이며, 비행 환경, 배터리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충전시간, 제품별 최대 10.3배 차이 있어 


ㅇ 배터리를 완전히 방전시킨 후 충전 완료까지 필요한 시간*을 측정한 결과, 패럿(맘보FPV) 제품이 27분으로 가장 짧았고, 시마(X8PRO) 제품이 277분으로 가장 길어 제품별 최대 10.3배 차이가 있었다.

 * 드론은 비행시간이 짧아(약 5분 ∼ 30분 이내) 배터리를 자주 충전해야 하므로, 충전시간이 짧을수록 사용성 측면에서 유리함.


[충전시간 시험 결과]

주요 비행장소

브랜드

모델명

충전시간1) []

실외

DJI

매빅에어

 

49

시마

X8PRO

 

277

자이로

엑스플로러V

 

84

제로텍

도비

 

43

패럿

아나피

 

127

실내

HK

H7-XN8

 

78

JJRC

H64

 

34

드로젠

로빗100F

 

73

바이로봇

XTS-145

 

44

바이로봇

패트론V2

 

41

시마

Z3

 

102

패럿

맘보FPV

 

27

한빛드론

팡팡드론2

 

34

1) 완전 방전상태에서 완전 충전까지 필요한 시간이며, 배터리 상태, 충전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배터리 내구성, 7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해 


ㅇ 드론에 장착된 배터리에 대해 반복적인 사용(수명시험*)과 장시간 보관(보관시험**) 후의 초기용량 대비 유지비율을 평가한 결과, 7개 제품***의 유지비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 배터리 충전-방전 100회 실시 후 초기용량 대비 유지비율 측정

 ** 배터리를 완전 충전 상태로 장시간(28일) 상온 보관 후 재충전하여 초기용량 대비 유지비율 측정

*** 주요 비행장소가 실외인 DJI(매빅에어), 시마(X8PRO), 제로텍(도비) 등 3개 제품 및 주요 비행장소가 실내인 HK(H7-XN8), 시마(Z3), 바이로봇(XTS-145, 패트론V2) 등 4개 제품


[배터리 내구성 ‘상대적 우수’ 제품]

주요 비행장소

브랜드(모델명)

실외

DJI(매빅에어), 시마(X8PRO), 제로텍(도비)

실내

HK(H7-XN8), 바이로봇(XTS-145, 패트론V2), 시마(Z3)


□ 영상품질, 3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해 


ㅇ 카메라가 장착된 9개 제품을 대상으로 비행 중 촬영한 영상을 평가*한 결과,  3개 제품**의 영상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 촬영 영상의 ‘화질 및 떨림’에 대해 30명이 실시한 관능평가

** DJI(매빅에어), 자이로(엑스플로러V), 패럿(아나피)


□ (비행고도 제한) 지속적인 고도 상승 시 드론의 움직임을 확인한 결과, 6개 제품이 비행고도를 제한하는 기능이 있었음.


ㅇ DJI(매빅에어), 자이로(엑스플로러V), 제로텍(도비), 패럿(맘보FPV, 아나피), 시마(X8PRO) 등 6개 제품은 비행고도 제한 기능*이 있었고, 시마(X8PRO)를 제외한 5개 제품은 제한고도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었음.

* 드론이 최대 150 m 이상의 고도로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

    

드론 조종자는 ‘조종자 준수사항’ (「항공안전법」 제129조, 동법 시행규칙 제310조)에 따라 150 m(항공기의 최저비행고도) 미만으로 비행해야 하며, 해당 고도 이상으로 비행해야 할 경우 반드시 사전에 ‘비행승인’을 받아야 함.


□ (비행 한계상황) 비행 중 한계상황(저전력 및 신호차단) 발생 시 드론의 움직임을 확인한 결과, 제품별 차이가 있었음.


ㅇ 비행 중 신호차단 시, 5개 제품*은 최초 이륙 장소로 자동복귀했고, 패럿(맘보FPV) 제품은 그 자리에서 정지비행했음.

* DJI(매빅에어), 시마(X8PRO), 자이로(엑스플로러V), 제로텍(도비), 패럿(아나피)


ㅇ 나머지 7개 제품*은 그 자리에서 착륙하는 것으로 확인됨.

* HK(H7-XN8), JJRC(H64), 드로젠(로빗100F), 바이로봇(XTS-145, 패트론V2), 시마(Z3), 한빛드론(팡팡드론2)

- 다만, 드로젠(로빗100F), 바이로봇(패트론V2) 등 2개 제품은 일정 고도(10 m 수준) 이상에서 신호차단 시, 추락 현상이 발생했음.


ㅇ 비행 중 저전력 발생 시, 3개 제품*은 최초 이륙 장소로 자동복귀했고, 10개 제품**은 그 자리에서 착륙했음.

 *  DJI(매빅에어), 시마(X8PRO), 패럿(아나피)

** 자이로(엑스플로러V), 제로텍(도비), HK(H7-XN8), JJRC(H64), 드로젠(로빗100F), 바이로봇(XTS-145, 패트론V2), 시마(Z3), 패럿(맘보FPV), 한빛드론(팡팡드론2)


□ 소음, 제품별 차이 있어


ㅇ 비행 중 최대 소음을 측정한 결과, 실내용 제품은 67 dB ~ 83 dB 수준이며, 실외용 제품은 80 dB ~ 93 dB 수준이었다.

   ※ 공기청정기의 소음은 56 dB ~ 65 dB 수준이며, 전기믹서의 소음은 76 dB ~ 91 dB 수준임.


□ 내환경 성능, 2개 제품 문제 있어 


ㅇ 낙하, 고온·저온, 습도 시험 후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한 결과, 드로젠(로빗100F) 제품은 기준시험*(습도)을 충족하지 못했고, 자이로(엑스플로러V) 제품은 실사용 확인시험(1 m 낙하)에서 기체 일부(랜딩기어)가 파손됐다.

* KS W 9001(무인 항공기 시스템–무인동력비행장치의 설계)


□ 모든 제품 안전성에 이상 없고 표시사항은 1개 제품 부적합 


ㅇ 과충전, 외부단락 등의 배터리 안전성에는 모든 제품이 이상이 없었으나, JJRC(H64) 제품은 「전파법」에 따른 의무 표시사항을 누락하여 부적합했다.

   ※ 해당 업체(보라매)는 누락된 표시사항을 보완할 계획임을 회신함.


□ 주요 비행 장소가 실외인 경우, 위성항법장치(GPS) 적용 제품 구입해야


ㅇ 시험대상 13개 중 5개 제품*은 GPS 연결 기반으로 비행고도 제한, 비행위치(또는 거리) 표시, 최초 이륙장소 자동복귀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 실외사용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됐다.

* DJI(매빅에어), 시마(X8PRO), 자이로(엑스플로러V), 제로텍(도비), 패럿(아나피)

   ※ HK(H7-XN8), JJRC(H64) 등 8개 제품은 비행고도 제한, 최초 이륙장소 자동복귀 기능이 없고, 약한 바람(2 m/s 수준)에도 기체가 밀려 주요 비행장소를 실내용으로 평가함.


ㅇ 실외에서 드론을 비행할 경우, 조종자 준수사항1)에 따라 비행해야 하고, 비행지역이나 고도에 따라 사전 승인절차2)가 필요하며, 항공 촬영 전에도 별도의 허가절차3)가 요구된다.


1)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의 준수사항(⌜항공안전법⌟ 제129조 1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310조)

 가시권 비행, 야간비행 금지, 인구밀집 지역 비행금지, 낙하물 투하행위 금지 등  


2)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승인(⌜항공안전법⌟ 제127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308조)

 지상고도 150 m 이상, 비행금지구역(또는 관제권)으로 비행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비행장치(종류, 용도, 소유자 등), 비행계획(목적, 비행구역, 경로·고도 등), 조종자(성명, 주소 등) 등의 정보가 포함된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승인 신청서’를 제출하여 관할 기관(국토부, 수도방위사령부 등) 승인 후 비행 가능


3) 항공촬영 허가(⌜국가정보원법⌟ 제3조 및 ⌜보안업무규정⌟ 제37조)

 항공촬영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비행장치(종류, 용도, 소유자 등), 촬영계획(촬영지역, 목표물, 고도 등), 조종자(성명, 생년월일 등) 등의 정보가 포함된 ‘항공사진 촬영허가 신청서’를 제출하여 관할 기관(국방부 등) 승인 후 항공촬영 가능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를 지원하기 위해 취미·레저용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품질 비교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드론(취미용) 종합결과표]

주요

비행

장소

1)

브랜드

2)

모델명

정격

전압

[V]

품질 및 성능

배터리

안전성

9)

내환경

성능

10)

주요 기능

표시

사항

12)

무게

[g]

 

구입

가격

[]

13)

정지

비행

성능

3)

배터리

내구성

4)

영상

품질

5)

최대

비행

시간

[] 6)

충전

시간

[]

7)

소음

[]

8)

비행

고도

제한

비행 한계상황

11)

저전력

신호

차단

DJI

매빅에어

11.55

★★★

★★★

★★★

19.4

49

93

478

867,240

패럿

아나피

7.6

★★★

★★★

25.8

127

80

317

740,060

자이로

엑스플로러V14)

11.1

★★

★★★

18.7

84

95

16)

1,287

498,000

제로텍

도비

7.6

★★★

★★★

★★

9.6

43

86

196

190,190

시마

X8PRO

7.4

★★

★★★

10.0

277

86

652

167,200

바이로봇

패트론V2

3.7

★★

★★★

-

6.4

41

67

-

18)

36

158,000

패럿

맘보FPV14)

3.7

★★★

★★

★★

7.2

27

75

79

141,510

드로젠

로빗100F

3.7

★★

5.8

73

73

17)

-

18)

61

136,720

시마

Z3

3.7

★★★

★★★

9.9

102

83

-

119

81,210

바이로봇

XTS-145

7.4

★★★

★★

6.3

44

79

-

88

69,900

HK

H7-XN8

3.7

★★★

-

7.0

78

82

-

139

30,000

JJRC

H64

3.7

★★

-

5.0

34

76

14)

-

X

26

19,800

한빛드론

팡팡드론2

3.7

★★

-

6.1

34

73

-

20

19,800

[기호의 표시]

★★★ : 상대적 우수, ★★ : 양호, : 보통, : 이상없음(관련 기준 적합 등), X : 이상있음(관련 기준 부적합 등), : 미흡, : 기능 있음, - : 기능 없음

1)

실외

비행성능 및 보유기능이 GPS 연결을 기반으로 하는 제품

 

실내

비행고도 제한, 최초 이륙장소 자동복귀 기능이 없고, 약한 바람(2 m/s 수준)에도 기체가 밀리는 제품

2) 브랜드 순서는 주요 비행장소별 구입가격이 높은 순서임.

3) 비행 중 조종기를 조작하지 않을 때 정지비행 기능(고도 및 수평 유지) 작동여부 및 성능평가

4) 배터리 수명시험과 보관시험 후 초기용량 대비 유지비율에 대한 평가

5) 비행 중 촬영한 영상의 화질 및 떨림에 대해 30명이 실시한 관능평가

6) 정지비행 상태로 측정(무풍, 20)한 최대 비행시간

7) 완전 방전 상태에서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필요한 시간

8) 최대 출력 상태에서의 음향파워레벨(PWL)

9) 과충전 및 외부단락 시험

10) 낙하, 고온, 저온, 습도 시험

11) 비행 중 한계상황(저전력, 신호차단) 발생 시 드론의 움직임 변화

: 자동복귀

: 정지비행

: 착륙

12) 전파법에 따른 적합성평가표시의 적합성

13) 온라인 최저가 기준(2019. 8.)이며, 구입 장소 및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14) 해당 제품은 현재 단종 상태임.

15) 외부 단락 시 배터리 파손(열변형)

16) 1 m 높이(실사용 확인시험)에서 낙하 시 기체 일부(랜딩기어) 파손

17) 습도 시험 후 주요 부품(카메라, 모터)에서 오작동 발생

18) 실외 10 m 이상의 고도에서 신호차단 시 추락 현상 발생

본 시험결과는 시험대상 제품에만 해당하는 결과임.


"본 저작물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2019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