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발표자료

2019 국제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한국대표팀 3년 연속 수상

728x90
반응형


□ 과학기술부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문용식)은 4월 4일(현지시각 기준) 포르투칼 포르토 대학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2019 ACM-ICPC World Finals, 이하 세계대회)’에서 한국대표 서울대팀이 은메달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 본 대회는 1977년 미국컴퓨터협회(ACM) 컴퓨터 과학 컨퍼런스에서 처음 개최된 대회로, 매년 전 세계 대학생들이 참가하는 가장 권위있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경시대회이다.


 ㅇ 세계대회를 위해 ’18년 122개국 3,098개 대학 49,935명의 대학생이 지역대회에 출전하였으며, 지역대회를 통과한 135개 팀, 400명의 대학생들이 2019년 세계대회 결승전에 참가하여 5시간동안 경쟁을 벌였다.


□ ACM-ICPC (International Collegiate Programming Contest)

 ○ 1977년 처음 개최되었으며 매년 전 세계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참가하는 가장 권위있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경진대회

     ※ 주관 : ICPC Foundation·Baylor University

     ※ 참가자격 : 19~22세의 대학(원)생으로 구성(동일대학 3명)

 ○ 6개 지역별 대회를 통해 선발된 지역대회 최상위팀 및 상위 랭킹팀이 세계대회 결승전 참가

   - ‘18년 122개국 3,098개 대학에서 49,935명 지역대회 출전, ’19년 세계대회 결승전 참가자 135개 팀 선발 


□ 한국대표팀은 2018년 11월에 진행된 ‘제18회 한국 대학생프로그래밍 경시대회’에서 치열한 경합을 통해 선발된 서울대팀과 KAIST팀으로 구성되었다.


 ㅇ 서울대팀(김동현, 신승원, 김현수, 코치 염헌영 교수)은 총 11개 문제 중 7문제를 해결하여 종합 7위로 은메달을 수여받았다. 함께 출전한 KAIST팀(구재현, 조민규, 박수찬, 부코치 이태현)은 6문제를 해결하였지만 종합 21위를 차지하면서 아쉽게 메달권에는 진입하지 못했다.


 ㅇ 올해 한국팀의 수상은 2017년부터 3년 연속 세계대회에서 수상*한 것으로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인재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 (18년 세계대회) 서울대(5위, 은상)(17년 세계대회) 서울대(3위, 금상), KAIST(9위, 동상)

 

□ 2019년 대회결과

메달

순위

대학명

국가명

해결 문제수

시간

1

Moscow State University(세계 챔피언)

러시아

10

1531

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미국

9

1191

3

The University of Tokyo

일본

9

1386

4

University of Warsaw

폴란드

8

891

5

National Taiwan University

대만

8

1179

6

University of Wroclaw

폴란드

8

1200

7

Seoul National University

한국

7

783

8

KimChaek University of Technology

북한

7

803

9

Sharif University of Technology

이란

7

923

10

Moscow Institute of Physics & Technology

러시아

7

954

11

National Research University Higher School of Economics

러시아

7

990

12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중국

7

1057

 ※ 서울대 팀 종합 7위, KAIST팀 종합 21위


□ 과기정통부 노경원 소프트웨어정책관은 “2019년 세계대회에 출전하여 우수한 성과를 거둔 한국대표단에게 축하와 격려를 보내며,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산업 발전을 위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뛰어난 인재를 발굴‧육성하는데 많은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본 저작물은 과학기술부정보통신부에서 '2019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