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발표자료

베트남, 필리핀 등 여전히 홍역유행, 여행 전 예방접종 필수

728x90
반응형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동남아, 유럽 등 전세계적으로 홍역* 이 계속됨에 따라, 5월 연휴기간을 맞아 해당 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경우, 홍역 예방접종 미접종자는 접종 후 출국할 것을 당부했다.

  *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감염병으로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을 시작으로 특징적인 구강 점막에 Koplik 반점에 이어 특징적인 발진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

  

□ (국외 현황) 현재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홍역 유행이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국내 여행객들의 방문이 많은 베트남, 필리핀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다. 해당 국가의 환자들 대부분은 예방접종력이 없었다.


 ○ 베트남은 ’19.1.1.∼3.27.까지 1,560명이 발생했으며, 전체 환자 중 96%가 예방접종력이 없었다.

     * 주요 발생지역 : 호치민의 Bình Tân과 Bình Chánh


 ○ 필리핀의 경우 ’19.1.1.∼4.5.까지 2만 8362명의 환자가 신고 됐으며, 이 중 389명이 사망했다. 환자(54%)와 사망자(84%)의 대부분이 5세 미만이었으며, 90%가 백신 미접종자였다.

     * 주요 발생지역 : 중앙 루손, 카라바존, 동부 비샤야, 수도 마닐라


 ○ 일본은 우리나라와 같은 홍역 퇴치국 인증을 받았으나, 계속되는 해외 유입 사례로 ’19.1.1.∼4.10.까지 홍역 환자 382명이 발생했다.

     * 주요 발생지역 : 오사카현, 미에현현, 아이치현, 도쿄도, 가나가와현 


 ○ 유럽지역 홍역은 2016년 루마니아에서 유행이 시작된 후 현재까지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프랑스, 이탈리아 등에서 유행이 지속 중이며, 발생 환자의 대부분 백신 접종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 (국내 현황) 우리나라는 2015~2018년 4년간 연 10건 내외이던 홍역 환자가, 해외여행객 및 외국인 입국 시 유입으로 올해 1.1.∼4.21.까지 총 147명의 확진 신고 되었다. 


  ○ 해외여행력이 확인된 환자가 홍역 확진 전 방문한 국가는 베트남(20건), 필리핀(13건), 태국(2건), 우크라이나(2건), 유럽, 대만, 마다가스카르, 캄보디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싱가포르 각 1건으로 나타났다.


  ○ 올해 신고 된 홍역 환자들의 대부분 경증이었으며, 합병증 및 중증도가 높은 경우는 없었다. 


   -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는, 우리나라는 홍역 예방접종률이 높은 편이며, 발열, 발진 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 접근성이 좋아 조기 발견, 치료가 가능하여 해외처럼 홍역으로 인한 사망 등 중증 사례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질병관리본부는 홍역은 예방접종으로 충분히 예방 가능하므로 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유행 지역 방문 전 MMR* 백신을  2회 모두 접종완료 하였는지 확인할 것을 권고했다(붙임 1).

   * MMR: 홍역(Measles), 볼거리(Mumps), 풍진(Rubella) 혼합백신


 ○ 특히 국내 홍역 확진자 중 해외여행에서 귀국한 20~30대 환자 발생이 계속되고 있어, 면역의 증거*가 없는 경우 출국 전에 최소 1회의 홍역(MMR) 예방접종을 권고하며, 12개월보다 어린 생후 6∼11개월 영아**라도 1회 접종 후 출국하는 것이 필요하다.

   * 면역의 증거: 다음 중 하나에 해당 1) 홍역을 앓은 적이 있는 경우 2) 홍역 예방접종 2회 접종기록 3) 홍역 항체 검사 양성

   ** 6∼11개월 접종 시 생후 12개월 이후 1회 재접종이 필요하며, 2차접종은 권장 접종일정(만4∼6세)에 접종 완료할 것


 ○ 아울러, 국외 유입으로 인한 홍역환자가 의료기관 방문이 가능하므로 의료기관에서는 홍역 의심환자 방문 시 해외 여행력 등 확인이 필요하며, 의료기관 종사자도 예방접종력 확인결과에 따라 MMR 백신의 2회 접종완료를 강조하였다.


□ 국외 홍역 발생 현황 


 ○ 아시아지역 현황: 필리핀, 베트남, 태국 등에서 환자발생 지속


  - (필리핀) ‘19.1.1~4.5일 기준, 수도권 중심으로 환자 총 28,362명(사망 389, 치명률 1.4%) 발생 보고 

    * 환자 54%가 5세미만, 사망자의 84%가 5세미만이며 환자 중 90%에서 접종력이 없으며, 3%만 2회 접종력 확인, 여성보다 남성에서 발생이 높은 상황

    * 사망자의 대부분이 중앙 루손, 카라바존, 동부 비샤야, 수도 마닐라에서보고

    * 2018년 총 20,827명(사망 199) 발생


  - (베트남) ‘19.1.1~3.27일 기준, 남부지역 중심으로 확진 총 1,560명 발생

   * 전체 환자 중 96%가 예방 접종력이 없고 48%가 18개월에서 10세 사이 연령

   * 전역에서 발생중이며 있으며 특히, 호치민의 Bình Tân과 Bình Chánh에서 높은 발생 


  - (태국) ‘19.1.1~3월 기준, 남부지역 중심으로 환자 총 2,020명 발생 보고

   * 전체 환자 중 0~4세 60%, 사망자(8)는 5개월~4세의 접종력 없는 대상자에서 발생

   *  주요 발생지역: 나라티와트, 파타니, 송클라, 얄라


  - (일본) ‘19.1.1~4.10일 기준 382명 발생, 10년 만에 대규모 발생 

   * 유입여부가 확인된 343명 중 국내감염 285명, 유입사례 58명

   * 연령별 발생현황: 20~29세 27%, 30~39세 25%, 1세 미만은 4%

   * 백신 미접종 117(30.6%), 모름 144명(37.7%), 1회 74명(19.3%), 2회 47명(12.3%)

   * 주요발생지역은 오사카현, 미에현현, 아이치현, 도쿄도, 가나가와현    

   

 ○ 유럽지역 현황: 대부분 국가에서 환자 발생 중이며 우크라이나, 프랑스, 이스라엘 등에서 유행지속 중


 - (우크라이나) ‘18.12.28~19.4.4일 기준, 총 37,328명(사망 14) 보고

   * 주요 발생지역:  Rivne, Livi, Vinnitsa, Khmelnytsky, Kyiv

   * ’18년 총 5,471명(사망 16) 발생


 - (프랑스)  ‘19.1.1~‘19.2.28일 기준, 총 313명 발생 보고

   * ‘18.2.1~‘19.2.1일 기준, 총 2,800명(사망 3) 발생

   * 주요 발생지역: Savoie, Mayotte, Reunion, Haute Garonne


 - (이스라엘) ‘18.3월~’19.3.26일 기준, 총 3,600명(사망 2) 보고

   * 주요 발생지역: 예루살렘, 비이트 세메시, 세이프트


 - (이탈리아) ‘19.1.1~‘19.2.1일 기준, 총 165명 발생 보고

   * ‘18.2.1~‘19.2.1일 기준, 총 2,632명 발생, 의료종사자 115명 포함

   * 22%가 5세 미만이며 이 중 1세 미만이 85%이고 90.6%가 백신 미접종자

   * 주요 발생지역: 시칠리아, 라치오, 칼라브리아, 캄파니아, 롬바르디아


 - (그리스) ‘18.2.1~‘19.2.1일 기준, 총 1,862명 발생 보고

   * 환자의 대부분은 남부 그리스의 어린이 또는 성인에서 발생, 북부에서도 발생   


 - (루마니아) ‘19.1.1~‘19.2.1일 기준, 총 261명(사망 3) 발생 보고

   * ‘16.2월 유행이 시작되어 총 확진 15,703명(사망 63) 발생

   * 주요 발생지역: Timis, Dolj, Arad, Bacau, Constanta, Iasi, Neamt Caraş Severin 

   

○ 아메리카 현황: 유행의 대부분이 브라질, 베네수엘라, 미국에서 보고


   - (브라질) ‘18.2.6~’19.3.2일 기준, 총 확진 10,334명(사망 12) 발생 보고

      * 1세 미만 어린이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고 불완전접종 또는 미접종자가 다수 

      * 확인된 유전자형은 베네수엘라 지역에서 유통된, D8형이 다수

      * 주요발생지역: 아마존, 바이아, 파라, 리오데 자네이로


   - (베네수엘라) ‘19.1.1~2.27일 기준, 총 확진 283명 발생 보고

      * 1세 미만 어린이에서 가장 많이 발생, 2차 접종력이 52%로 추정

      * 미주지역 전체 홍역 환자의 68% 차지

      * ‘17.8월부터 유행 지속중이며 누적 총 의심환자 9,116명(’17년 1,307, ‘18년 7,809)

      * 유행이 활발한 지역: 델타 아마쿠로, 아마조나스, 미란다, 볼리바르


   - (미국)  ’19.4.11일까지 20개* 주에서 555명 발생 

      *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코네티컷, 플로리다, 조지아, 일리노이, 인디애나, 켄터키, 메릴랜드, 매사추세츠, 미시간, 미주리, 네바다, 뉴햄프셔, 뉴저지, 뉴욕, 오리건, 텍사스, 워싱턴)

      (뉴욕 주) ’19.4.10일 기준 록클랜드(Rockland) 186명 발생

      ⦁ 해외에서 감염되어 정통유대교 공동체 내에서 집단 발생. 백신 미접종자가 대부분

      ⦁ 3.27일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포

      (뉴욕시) ’19.4.15일 기준 브루클린(Brooklyn), 퀸즈(Queens) 자치구에서 329명 발생

      ⦁ 정통유대교 공동집단 중심으로 환자 발생 중이며 대부분 미접종, 불완전 접종자에서 발생

      ⦁ 유행 중심지역인 브루클린의 윌리엄스버그 지역 대상 MMR 예방 접종 명령(위반 시 벌금형)

      ⦁ 4. 9일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포


□ 질병관리본부는 우리나라의 경우 어린이 홍역(MMR) 예방 접종률(1차 97.7%, 2차 98.2%)이 높아 국외에서 홍역바이러스가 유입 되더라도 대규모 유행 가능성은 매우 낮으나 면역력이 충분하지 못한 사람들에서 소규모의 환자 발생이 있을 수 있다면서, 해외여행 중에는 손 씻기 및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 홍역 유행국가를 방문한 후 입국 시 발열, 발진 증상이 있을 경우 국립검역소 검역관에게 신고하며, 

  - 귀국 후 홍역(잠복기 7~21일) 의심 증상(발열, 발진 등)이 나타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에 문의하여 안내에 따라 의료기관을 방문하도록 당부하였다. 


 ○ 아울러, 국내에 홍역 환자가 유입된 후에는 조기 발견이 중요하므로 의료기관에서는 발열, 발진 환자 진료 시 홍역 가능성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홍역이 의심되면 관할 보건소에 신고해 줄 것을 요청했다. 


"본 저작물은 질병관리본부에서 '2019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