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모전

2021 GTX 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 5.7까지 접수

728x90
반응형

 

도권광역급행철도(GTX, Great Train eXpress) 전 구간 사업추진에 따른 국민적 기대와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대심도 건설 안전성과 공사 이해를 위한 대국민 홍보 및 안전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공모전이 열린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는 대부분 단단한 암반층에 위치하여 일반지하철보다 훨씬 구조적으로 안전하며 이와 더불어 다양한 안전 장치* 등을 설치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 피난안전구역 설치, 한강하저 통과구간은 맞은편 터널로 대피할 수 있는 피난횡갱 설치, IOT융합 스마트 대피유도시스템 구축, 지능형 제연 설비 등

 

대한민국 최초로 추진되는 사업인 만큼 대심도 터널안전성 널리 알리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활용하기 위해 공모전을 마련하였다.

 

국토교통부가 주최하고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학회, 에스지레일()주관하는 이번 공모전에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한국철도학회 누리집(http://railway.or.kr)에서 공모전 양식을 다운로드 후 작성하고 412()부터 5 7()까지 이메일로 접수하면 된다.

 

▣ 참가신청 자격

- 전 국민(개인 또는 팀) 누구나 참여 가능

- 1인(팀) 1아이디어(팀 구성 시 5인 이하로 구성)

 

▣ 공모주제

- 대심도 건설의 안전성 홍보 아이디어

- 대심도 터널 건설 운영 및 지하 안전 관련 아이디어

 

▣ 공모일정

- 4.12(월) ~ 5.7(금) : 참가신청 접수

- 5.10.(월) ~ 5.28.(금) : 선행기술조사 및 심사(1차, 2차)

- 5.31(월) : 수상작 발표

☆ 공모전 준비 및 진행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접수방법

- 이메일: railway@railway.or.kr

- 제출서류(아래 참조): 참가신청서, 아이디어소개자료, 개인정보수집및이용동의서

 

아이디어 공모전 신청서식.hwp
0.05MB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hwp
0.02MB
아이디어소개자료-양식.pptx
0.10MB

 

수상작은 531() 한국철도학회 누리집(http://railway.or.kr)에서발표한다.

 

공모주제대심도 터널 건설, 운영 및 지하 안전과 관련된 홍보 중점으로 하고, 그 외에도 기술, 운영 안전관리 모든 분야 대상으로 한다.

 

외부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타당성, 창의성, 수용성, 효과성, 파급성 5개 평가 항목을 기준으로 서면 심사하여 대상에게는 상금 200만 원 국토교통부장관상을 함께 수여한다.

 

<GTX 안전 국민 아이디어 시상 개요>

구 분

시상 내역

대상(장관상)

1명(팀)

상장 및 상금(200만원)

최우수상(국가철도공단 이사장상)

1명(팀)

상장 및 상금(100만원)

우수상(철도학회장상)

1명(팀)

상장 및 상금(70만원)

장려상(에스지레일)

1명(팀)

상장 및 상금(50만원)

4명(팀)

420만원

 

이미지 제공 국토교통부

 

자세한 사항은 한국철도학회 누리집(http://railway.or.kr)에서 확인할 있으며, 국가철도공단 광역민자철도처(042-607-3976), 한국철도학회 사무국(02-794-5162/5163)로도 문의할 수 있다.

 

수상작에 대해서는 전문가 검토, 관계기관 협의 등을 통해 실제 GTX 사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적극 반영할 계획이며, 대심도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으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수도권광역급행철도과 장창석 과장은 정부 GTX 공사구간에 대한 사업 관리더욱 철저히 하고 국민들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GTX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면서, 아울러, “우리 국민들께서도 이번 공모전이 대심도 공사에 대한 이해와 안전 의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본 저작물은 국토교통부에서 '2021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